항생제는 미생물에 의한 감염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는 의약품으로, 주로 세균 감염을 치료하는 약물이다. ‘급성 상기도감염’인 감기는 가장 흔한 감염병으로, 대부분 호흡기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이기 때문에 항생제 치료의 필요성이 낮다. 하지만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21년 약제 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 급성 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이 영유아(0~6세)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급성 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 영유아가 가장 높아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21년 약제 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에 의하면, 감기 등 급성 상기도감염의 항생제 처방률은 2002년 73.33%에서 2021년 35.14%로 대폭 감소했으며, 매년 꾸준한 감소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연령별 급성 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을 살펴보면, 영유아의 항생제 처방률이 38.92%로 성인인 35.85%보다 높으며, 2019년 이후 3년 연속으로 다른 연령대와 비교해 항생제 처방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영유아의 경우, 감기로 병원을 방문하는 횟수가 연간 평균 6.5회(2019년 기준)로 다른 연령 대비 약 2~3배 정도 더 많고, 항생제 처방률까지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노원을지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은병욱 교수는 “어린이 감기 환자의 보호자 중에는 빠른 치료를 위해 항생제 처방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는데, 불필요한 항생제를 복용하게 되면 항생제에 노출된 세균들의 내성이 높아져 정작 세균감염 질환에 걸렸을 때는 치료가 가능한 항생제가 줄어든다”라고 말하며, “감기에 항생제를 요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의료진도 항생제는 꼭 필요한 경우에만 처방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질병관리본부 소아 급성 상기도감염의 항생제 치료 지침에서는 “감기 치료로 항생제를 미리 사용한다고 해서 폐렴 등의 세균성 하기도 감염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감기는 대증요법이 가장 적합, 단 오래 지속되면 다시 진료 받아봐야감기 치료를 위한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은 오히려 내성과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영유아는 생리학적 특성이 성인과 다르고, 약물에 대한 반응이 민감하기 때문에 이상 반응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영유아가 항생제 복용 후 ▲위장장애 ▲설사 ▲오심 ▲구토 ▲피부 발진 ▲두드러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 또는 약사에게 알려야 한다. 감기는 대부분 10일 이내에 증상이 호전되기 때문에, 증상을 완화하는 대증요법이 가장 적합한 치료 방법이다. 단, 감기 치료 중 10일이 지나도 증상(콧물, 기침)이 호전되지 않거나 증상이 호전되다가 다시 악화되는 경우에는 다른 호흡기 질환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의료 기관을 방문해 진료받아야 한다.